정신건강 DB플랫폼

Mental Health & Communal Society

정신건강 체계

대상자별 시설종류
영유아 보건의료 생활이용 영유아 의료시설 일반 및 정신건강 병의원, 소아청소년의학과
영유아 보건시설 보건소, 보건지소
영유아 정신건강 전문시설 소아청소년 정신의학과
복지 생활이용 영유아 복지시설 아동양육시설
건강가정지원센터
시소와그네(영유아발달통합사례관리센터)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정신건강복지 연계시설 읍면동 주민센터
아동 보건의료 생활이용 아동의료시설 일반 및 정신건강 병의원 소아청소년의학과
아동 정신건강 전문시설 소아청소년 정신의학과
아동상담치료센터(동부아동상담치료센터)
청소년치료재활센터(디딤돌센터)
소아청소년 정신건강복지센터
아이존(중독 및 정서행동장애 상담센터)
복지 생활 아동 복지시설 아동양육시설
드림스타트
아동일시보호시설
학대아동보호전문기관
아동직업훈련시설
자립지원시설
아동단기보호시설
이용 공동생활가정
아동상담소
아동 전용시설
아동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다함께돌봄센터(2019.1.15.신설법)
아동종합시설
청소년 보건의료 생활이용 청소년 의료시설 일반 및 정신건강 병의원 소아청소년의학과
청소년 정신건강 전문시설 소아청소년 정신의학과
아동상담치료센터(동부아동상담치료센터)
청소년치료재활센터(디딤돌센터)
소아청소년 정신건강복지센터
아이존(중독 및 정서행동장애 상담센터)
학교기반 정신건강 전문시설 Wee 클래스
Wee 센터
Wee 스쿨
대학병원 기반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사업단
복지 생활 청소년 복지시설 자립지원시설
청소년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이용 청소년 쉼터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특화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
청소년이용시설
청년 보건의료 생활이용 정신건강 의료시설 정신건강 병의원
정신건강 입소시설 정신요양원
정신건강복지센터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중독관리 통합지원센터
정신건강상담전화
복지 생활 정신재활시설 성인생활시설
성인주간재활시설
성인공동생활가정
성인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
이용 성인정신장애인직업재활시설
아동청소년정신건강지원시설
성인정신장애인 종합시설
중독재활시설
정신건강복지 연계시설 읍면동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정신건강 증진시설 대학 학생상담센터
근로자 건강센터
중장년 보건의료 생활이용 정신건강 의료시설 정신건강 병의원
정신건강 입소시설 정신요양원
정신건강복지센터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중독관리 통합지원센터
정신건강상담전화
복지 생활 정신재활시설 성인생활시설
성인주간재활시설
성인공동생활가정
성인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
이용 성인정신장애인직업재활시설
아동청소년정신건강지원시설
성인정신장애인 종합시설
중독재활시설
정신건강복지 연계시설 읍면동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정신건강 증진시설 대학 학생상담센터
근로자 건강센터
생활이용 한부모가족 지원시설 모자보호시설
모자자립시설
부자보호시설
미혼모자시설
미혼모자공동생활가정
모자공동생활가정
부자공동생활가정
미혼모공동생활가정
일시보호시설
성매매 피해지원 시설 일반지원시설
청소년지원시설
외국인여성지원시설
자활지원센터
성매매피해상담소
여성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여성인력개발센터
성폭력피해보호시설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
성폭력피해상담소
가정폭력피해보호시설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가정폭력상담소
가정폭력상담원교육훈련시설
부랑노숙인복지시설 노숙인쉼터
상담보호센터
가족복지지원시설 건강가정지원센터
근로자지원시설 근로자건강센터
자활시설 지역자활센터
다문화가족복지시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전체 노인 보건의료 생활 노인생활 의료시설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전문병원
이용 노인이용 의료시설 일반 및 정신건강 병의원
노인 정신건강 치료 재활시설 노인 전문정신건강복지센터
치매안심센터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상담센터
중독관리 통합지원센터
학대피해노인 지원시설 노인보호전문기관-단기보호시설
노인보호전문기관
복지 생활 노인주거복지생활시설 양로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
부랑노숙인생활시설 부랑노숙인 복지시설
이용 노인여가 복지시설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교실
노인휴양소
재가노인 복지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독거노인 복지시설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부랑노숙인 복지시설 노숙인쉼터
상담보호센터
정신건강복지 연계시설 읍면동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복합 복합노인복지시설 복합노인복지시설
영유아

보건의료

1
생활이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영유아
의료시설
일반 및 정신건강 병의원,
소아청소년의학과
지역사회 내 아동청소년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아동청소년기 정신건강문제의 예방, 조기발견 및 상담, 치료를 통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의 성장 발달 지원.
  • 심층사정평가 및 사례관리
  • 지역사회 연계체계 구축 및 교육/홍보
  • 정신건강문제의 조기발견(고위험군 발굴)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일반정신건강증진센터 : 전국 209개소
일반센터 중 아동청소년정신 보건사업 실시센터 : 177개소
아동청소년전문정신 건강증진센터 : 5개소
(2015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영유아
보건시설
보건소, 보건지소 평생건강의 기초가 되는 영유아 시기부터 건강관리를 하여 아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도입되었으며, 기존의 검사위주에서 벗어나 영유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한 맞춤형 검진프로그램 제공. 보건복지부 바로가기링크
영유아 정신건강
전문시설
소아청소년 정신의학과 영유아와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학술연구와 전문가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 아동의 정신건강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로 17, 동우빌딩 바로가기링크

복지

1
생활이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영유아
복지시설
아동양육시설 아동복지시설 중 보호대상아동을 입소시켜 보호, 양육 및 취업훈련, 자립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보건복지부
아동권리과
전국 53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건강가정
지원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여성가족부가 시행하는 가족정책의 주요 전달 체계로서 다양한 가족지원 정책을 제안 및 실행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긴급 및 일시적인 시간제 돌봄서비스를 지원하고 가정생활 전반에 관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 한국건강
가정진흥원
전국 204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시소와그네
(영유아발달통합사례관리센터)
시소와 그네 전문위원회(위원장 이봉주,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영유아 통합지원센터를 통하여 만 0~7세 영유아 아동에게 건강, 복지, 교육 환경을 제공하여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을 이끌어 내고자 함. 여성가족부
가족지원과
전국 3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정착과 가족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종합서비스를 제공. 한국건강
가정진흥원
전국 217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정신건강복지
연계시설
읍면동 주민센터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찾동) - 산모, 영유아 방문건강체크 및 양육상담 안내 전국 읍, 면, 동 복지전담팀 2,619개 (2017년 기준)
3,502개 (2018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아동

보건의료

1
생활이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아동
의료시설
일반 및 정신건강 병의원 소아청소년의학과 지역사회 내 아동청소년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아동청소년기 정신건강문제의 예방, 조기발견 및 상담, 치료를 통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의 성장 발달 지원.
  • 심층사정평가 및 사례관리
  • 지역사회 연계체계 구축 및 교육/홍보
  • 정신건강문제의 조기발견(고위험군 발굴)
*학교연계사업의 경우 교육부와 협력하여 진행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일반정신건강증진센터 : 전국 209개소
일반센터 중 아동청소년정신 보건사업 실시센터 : 177개소
아동청소년전문정신 건강증진센터 : 5개소
(2015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아동 정신건강전문시설 소아청소년 정신의학과 기본적인 소아청소년 정신의학정보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고, 아동의 정신건강에 대한 잘못된 생각들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틱 장애(Tic Disorder), 발달장애,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 등에 대해 세분화된 정보를 제공.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전국 399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아동상담치료센터(동부아동상담치료센터) 아동복지행정 전문치료기관으로서, 정서/행동상의 어려움이 있는 아동/청소년을 일시보호하여 상담, 교육, 치료, 보호서비스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아이들이 건강한 사회인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도움. 서울특별시립아동상담치료센터 서울시 동대문구 답십리로 69길, 106 바로가기링크
청소년치료재활센터(디딤돌센터) 청소년에게 적합한 치료 및 교육, 재활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거주형 청소년 치료재활 센터
  • 상담 및 치료 : 상담, 치료
  • 자립 : 관심사, 적성에 맞는 진로교육
  • 공동체 : 공동가정생활, 자치활동, 동아리 등
  • 보호: 생활습관 및 사회적응, 대인관계 기술습득
  • 대안교육 : 학습권 보장을 위한 대안교육, 검정고시 준비
  • 정서행동에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 치료, 보호, 교육의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
국립중앙청소년디딤센터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각궁로 252-76 바로가기링크
소아청소년 정신건강복지센터 성남시 지역 주민 및 소아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 및 정신보건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성남시와 분당서울대학교병원간의 위탁계약 체결에 따라 2007년 1월 개소한 후, 현재 성남시 각 구 보건소,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및 각 의료기관, 상담 및 복지 기관들과 상호협력 체계를 유지하며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소아 청소년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 성담시 소아청소년 정신건강복지센터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정로 218 바로가기링크
아이존(중독 및 정서행동장애 상담센터) 아동청소년주간치료센터 위탁 운영.
  • 정신보건 서비스 사각지대 해소를 목표로 취약계층 아동을 우선 지원
  • 서울특별시 사회복지시설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6조(사회복지시설의 관리운영의 위탁)
  • 개인치료, 집단치료, 학교적응 프로그램, 인지학습치료, 놀이치료, 감각통합치료, 가족치료 등
  •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26조(정신재활시설의 설치 운영) 제52조(보조금등)
  • 정서행동 문제 아동들이 방과후 주간치료 프로그램을 운영. 의료기관에 입원할 정도는 아니나, 외래치료만으로 어려운 수준의 정서행동 문제아동 치료.
서울시 아이존 서울시 11개소(정서행동 10개소, 발달장애 1개소) 바로가기링크

복지

1
생활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아동
복지시설
아동양육시설 아동복지시설 중 보호대상아동을 입소시켜 보호, 양육 및 취업훈련, 자립지원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보건복지부 아동권리과 전국 53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드림스타트
  • 기본서비스 : 가정방문을 통한 서비스 대상 아동 발굴 통합사례관리
  • 필수서비스 :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서비스로 모든 드림스타트 사례관리 대상에게 제공
  • 맞춤서비스 : 사정 결과에 따라 대상자 별로 지원하는 맞춤형 서비스, 기본 및 필수서비스 이외의 서비스
  • 기타서비스 : 물품지원 및 후원자 연계 등
보건복지부 아동권리과 전국 229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아동일시보호시설 보호대상아동을 일시보호하고 아동에 대한 향후의 양육대책수립 및 보호조치를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아동복지법 제52조(아동복지시설의 종류) _시행 2019. 7. 16. 기준]
보건복지부 아동복지정책과 - 바로가기링크
학대아동보호전문기관 학대아동의 발견, 보호, 치료 및 아동학대의 예방 등을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사업.
[아동복지법 제52조(아동복지시설의 종류) _시행 2019. 7. 16. 기준]
아동직업훈련시설 아동복지시설에 입소되어 있는 만15세 이상의 아동과 생활이 어려운 가정의 아동에 대하여 자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아동복지법 제16조(아동복지시설의 종류) _시행 2010. 9. 27. 기준]
자립지원시설 아동복지시설에서 퇴소한 사람에게 취업준비기간 또는 취업 후 일정 기간 동안 보호함으로써 자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아동복지법 제52조(아동복지시설의 종류) _시행 2019. 7. 16. 기준]
아동단기보호시설 일반가정에 아동을 보호하기 곤란한 일시적 사정이 있는 경우 아동을 단기간 보호하며 가정의 복지에 필요한 지원조치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아동복지법 제16조(아동복지시설의 종류) _시행 2010. 9. 27. 기준]
공동생활가정 보호대상아동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보호, 양육, 자립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아동복지법 제52조(아동복지시설의 종류) _시행 2019. 7. 16. 기준]
2
이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아동
복지시설
아동상담소 아동과 그 가족의 문제에 관한 상담, 치료, 예방 및 연구 등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아동복지법 제52조(아동복지시설의 종류) _시행 2019. 7. 16. 기준]
보건복지부 아동권리과 - 바로가기링크
아동 전용시설 어린이공원, 어린이놀이터, 아동회관, 체육ㆍ연극ㆍ영화ㆍ과학실험전시 시설, 아동휴게숙박시설, 야영장 등 아동에게 건전한 놀이ㆍ오락, 그 밖의 각종 편의를 제공하여 심신의 건강유지와 복지증진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아동복지법 제52조(아동복지시설의 종류) _시행 2019. 7. 16. 기준]
아동복지관 서울 노원구(구청장 김성환)가 건립한 아동 편의시설과 보호전문기관을 갖춘 '노원 아동복지관' 서울 노원구 서울시 노원구 노원로 331 바로가기링크
지역아동센터 보호, 교육, 문화, 정서지원, 지역사회연계 등 종합적으로 복지서비스를 제공
  • 교육프로그램 : 다양한 교육활동지원
  • 문화프로그램 : 아동의 정서적 성장촉진도모
  • 보호프로그램 : 안전한 장소, 건강한 생활지원
  • 정서지원프로그램 : 아동 및 가족에 대한 지원으로 가족기능강화
  •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 : 지역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서비스 제공 및 연계
  • * 지역 특성별 센터 특화 프로그램 진행
보건복지부 아동권리과 전국 4,102개소
(2015년 기준)
*민간이 운영하며, 설치시 시군구청장과 사전협의 후 설치가능함.
바로가기링크
다함께돌봄센터(2019.1.15.신설법) 돌봄이 필요한 6-12세 아동(초등학생 중심)에게 일시·긴급돌봄, 방과후 프로그램 연계, 등·하원지원, 정보제공 등 다양한 형태의 지역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돌봄 사각지대 해소 및 맞벌이 가구 등의 육아부담 경감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총괄과 전국 12개소
(2018년 기준)

전국 200개소
신규 설치예정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아동종합시설 지역사회 아동의 보호ㆍ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아동의 건전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아동복지법 제52조(아동복지시설의 종류) _시행 2019. 7. 16. 기준]
보건복지부 아동복지정책과 - 바로가기링크
청소년

보건의료

1
생활이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청소년 의료시설 일반 및 정신건강 병의원 소아청소년의학과 지역사회 내 아동청소년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아동청소년기 정신건강문제의 예방, 조기발견 및 상담, 치료를 통하여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의 성장 발달 지원.
  • 심층사정평가 및 사례관리
  • 지역사회 연계체계 구축 및 교육/홍보
  • 신건강문제의 조기발견(고위험군 발굴)
  • *학교연계사업의 경우 교육부와 협력하여 진행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일반정신건강증진센터 : 전국 209개소
일반센터 중 아동청소년정신보건사업 실시센터 : 177개소
아동청소년전문정신건강증진센터 : 5개소
(2015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청소년 정신건강전문시설 소아청소년 정신의학과 기본적인 소아청소년 정신의학정보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고, 아동의 정신건강에 대한 잘못된 생각들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틱 장애(Tic Disorder), 발달장애,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 등에 대해 세분화된 정보를 제공.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전국 399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아동상담치료센터(동부아동상담치료센터) 아동복지행정 전문치료기관으로서, 정서/행동상의 어려움이 있는 아동/청소년을 일시보호하여 상담, 교육, 치료, 보호서비스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아이들이 건강한 사회인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도움. 서울특별시립아동상담치료센터 서울시 동대문구 답십리로 69길, 106 바로가기링크
청소년치료재활센터(디딤돌센터) 청소년에게 적합한 치료 및 교육, 재활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거주형 청소년 치료재활 센터
  • 상담 및 치료 : 상담, 치료
  • 자립 : 관심사, 적성에 맞는 진로교육
  • 공동체 : 공동가정생활, 자치활동, 동아리 등
  • 보호: 생활습관 및 사회적응, 대인관계 기술습득
  • 대안교육 : 학습권 보장을 위한 대안교육, 검정고시 준비
  • 정서행동에 어려움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 치료, 보호, 교육의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
국립중앙청소년디딤센터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각궁로 252-76 바로가기링크
소아청소년 정신건강복지센터 성남시 지역 주민 및 소아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 및 정신보건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성남시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간의 위탁계약 체결에 따라 2007년 1월 개소한 후, 현재 성남시 각 구 보건소,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및 각 의료기관, 상담 및 복지 기관들과 상호협력 체계를 유지하며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소아 청소년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 성담시 소아청소년 정신건강복지센터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수정로 218 바로가기링크
아이존(중독 및 정서행동장애 상담센터) 아동청소년주간치료센터 위탁 운영.
  • 정신보건 서비스 사각지대 해소를 목표로 취약계층 아동을 우선 지원
  • 서울특별시 사회복지시설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6조(사회복지시설의 관리운영의 위탁)
  • 개인치료, 집단치료, 학교적응 프로그램, 인지학습치료, 놀이치료, 감각통합치료, 가족치료 등
  •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제26조(정신재활시설의 설치 운영) 제52조(보조금등)
  • 정서행동 문제 아동들이 방과후 주간치료 프로그램을 운영. 의료기관에 입원할 정도는 아니나, 외래치료만으로 어려운 수준의 정서행동 문제아동 치료
서울시 아이존 서울시 11개소(정서행동 10개소, 발달장애 1개소) 바로가기링크
학교기반 정신건강 전문시설 Wee 클래스
  • 위 클래스 : 단위학교에 학생의 감성과 문화에 맞는 상담실 활동을 활용하여 부적응 학생의 예방 및 지도, 상담활동과 집단지도 등을 운영
  • 위 센터 : 학교에서 지도하기 어려운 학생의 체계적 관리 및 지도를 위해 교육지원청 차원에서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진단-상담-치유가 가능한 원스톱 상담 및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
  • 위 스쿨 : 지속적인 상담, 치료 서비스가 필요한 고위기 학생들을 위한 기숙형 장기위탁 기관
교육과학기술부 위 센터: 전국 196개소
위 클래스: 전국 6,427개소
위 스쿨: 전국 14개소
가정형: 16개
(2018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Wee 센터
Wee 스쿨
대학병원 기반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사업단 우울, 불안, ADHD, 학교폭력, 자살문제 등 정신건강의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을 조기에 발견, 개입함으로써 학생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이를 위해 교육부의 지원으로 전국 7개 권역의 정신건강전문가 학교방문지원사업단과 이를 통괄 및 지원하는 중앙센터를 설치 및 운영. 정신건강전문가학교 방문지원사업단 전국 10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복지

1
생활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청소년 복지시설 자립지원시설 시설퇴소아동 및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에게 일정기간 숙소를 제공하여 안정된 자립기반 조성지원
  • 서비스 내용 : 상담지원, 자립지원, 정서지원, 생활지원 등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아동자립지원단 전국 22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청소년단기보호시설 가출청소년의 일시 보호 및 숙식제공, 가출청소년의 상담, 선도, 수련활동, 학업 및 직업훈련 지우너활동, 그 밖에 학교에서 위탁된 청소년들의 상담과 지원활동 및 청소년 복지지원에 관한 활동 등이 있음. (청소년 쉼터와 동일함) 각 시/군/구 전국 130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공동생활가정 경제적 여건, 가정해체, 수감 등으로 아이를 키우기 불가능한 가정의 자녀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보호자와의 개별상담 및 사실조사 후 입소되어 교육 및 보호를 받을 수 있게 함. 서울특별시 아동공동생활가정 지원센터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26 바로가기링크
2
이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청소년 복지시설 청소년 쉼터 가출청소년의 일시 보호 및 숙식제공, 가출청소년의 상담, 선도, 수련활동, 학업 및 직업훈련 지원활동, 그밖에 학교에서 위탁된 청소년들의 상담과 지원활동 및 청소년 복지지원에 관한 활동 등이 있음. 각 시/군/구 전국 130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청소년수련관링크 청소년 수련시설은 청쇼년들이 일상의 생활환경속에서 다양한 여가문화, 봉사활동을 하거나 혹은 일상 생활공간이 아닌 자연환경 속에서 야외 활동을 통하여 심신을 단련하고 호연지기를 길러 지, 덕, 체를 고루 갖춘 전인적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수련활동을 위하여 설치 또는 제공되는 모든 장소, 시설을 총칭. 전국 800개소
(2019년 기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문화의집 비교적 소규모의 시설이나, 청소년의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며 높은 이용률을 기대할 수 있는 시설로 생활권 수련시설로서 도보나 대중교통수단으로 접근할 수 있는 주택가 및 도심지 혹은 근교에 설치. 여성가족부 청소년활동진흥과 및 각 읍/면/동 전국 253개소
(2019년 기준)
청소년특화시설 청소년의 직업체험, 문화예술, 과학정보/환경 등 특정 목적의 청소년활동을 전문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시설과 설비를 갖춘 수련시설을 의미. 현재 서울특별시립 청소년 미디어센터 ‘스스로넷’, 서울특별시립 청소년문화교류센터 ‘미지’, 서울특별시립 청소년직업체험센터 ‘HAJA(하자)’, 서울특별시립 청소년성문화센터 ‘AHA(아하)’, 서울특별시립 근로청소년복지관, 서울특별시립 청소년활동증진센터가 운영중. 전국 6개소
(2019년 기준)
청소년야영장 야영에 적합한 시설 및 설비를 갖추고 수련거리 또는 야영편의를 제공하는 수련시설. 전국 36개소
(2019년 기준)
유스호스텔링크 청소년의 숙박 및 체재에 적합한 시설, 설비에 부대, 편익시설을 갖추고 숙식편의 제공, 여행청소년의 수련활동 지원 등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시설. 전국 109개소
(2019년 기준)
청소년이용시설 수련시설이 아닌 시설로서 그 설치 목적의 범위에서 청소년활동의 실시와 청소년의 건전한 이용 등에 제공할 수 있는 시설 여성가족부 청소년활동진흥과 및 각 읍/면/동 - 바로가기링크
청년

보건의료

1
생활이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정신건강
의료시설
정신건강 병의원 국민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국가 정책 관련 지원 및 연관된 범부처 협업사업, 사회적 요구로 수행되는 정신보건사업 등을 수행하고, 국가정신건강사업 수행을 위한 정신건강 전문인력을 양성. 국립전신건강센터 정신건강사업부 서울특별시 광진구 용마산로 127 바로가기링크
정신건강
입소시설
정신요양원 정신장애인들의 더 나은 적응을 돕기 위한 개별맞춤 사례관리를 진행하고 개인의 의견과 선택결정의 존중을 통해 적극적인 사회활동으로의 참여를 돕는 사람중심의 서비스를 제공. 한국정신요양시설협회 전국 59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정신건강복지센터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사회 내 정신질환자의 등록관리, 사례관리, 주간재활(Day care), 교육·훈련, 타 기관 연계 등 정신질환자 관리, 재활사업 추진 및 지역주민의 정신건강, 자살예방 등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사업 수행
  • 기획 : 지역사회 진단/ 기획 및 자원조정
  • 중증정신 질환관리 : 신규발견체계 구축/ 사례관리서비스/ 위기관리서비스/ 주간재활프로그램/ 직업재활 프로그램/ 주거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 정신건강 증진사업 : 홍보 및 교육사업/ 1577-0199 상담전화/ 고위험군 조기발견과 치료연계사업
  • 정신보건 환경조성 : 보건복지 네트워크 구축/ 자원봉사운영체계 구축/ 지역 언론 협력체계 구축/ 경찰 및 구조구급 네트워크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전국 215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 기획 : 지역사회 진단 및 연구조사/ 서비스 평가체계 구축
  • 중증정신 질환관리 : 편견해소 사업/ 24시간 위기관리지원/ 초발정신질환관리체계구축/ 탈원화 전달체계 구축/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노숙정신질환관리
  • 정신건강 증진사업 : 인식개선 사업/ 24시간 상담 및 지원/ 자살위기개입 체계운영/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고위험군 조기검진지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지원
  • 정신보건 환경조성 : 사회안전망 구축 지원/ 언론 네트워크 구축 및 지원
전국 16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중독관리 통합지원센터 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 게임 등으로 유발되는 중독예방교육 실시, 중독선별검사 보급을 통한 조기발견 활성화, 지역사회 알코올 중독 고위험군 상담서비스 제공. 전국 50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정신건강상담전화 전국 어디에서나 전화를 걸면, 시·군·구별로 정신보건전문요원 등이 자살위기 상담 등 정신건강상담과 지지, 정신건강정보 제공, 정신의료기관 등을 안내. 전국 16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복지

1
생활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정신재활시설 성인생활시설 가정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정신질환자등에게 주거, 생활지도, 교육, 직업재활훈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가정으로의 복귀, 재활, 자립 및 사회적응을 지원하는 시설 한국정신재활시설협회 전국 16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1링크바로가기2링크
성인주간재활시설 정신질환자등에게 작업ㆍ기술지도, 직업훈련, 사회적응훈련, 취업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전국 76개소
(2019년 기준)
성인공동생활가정 완전한 독립생활은 어려우나 어느 정도 자립능력을 갖춘 정신질환자등이 공동으로 생활하며 독립생활을 위한 자립역량을 함양하는 시설 전국 149개소
(2019년 기준)
성인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 지역 내 정신질환자등에게 일시 보호 서비스 또는 단기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퇴원했거나 퇴원계획이 있는 정신질환자등의 안정적인 사회복귀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한 주거제공, 생활훈련, 사회적응훈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전국 7개소
(2019년 기준)
2
이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정신재활시설 성인정신장애인직업재활시설 정신질환자등이 특별히 준비된 작업환경에서 직업적응, 직무기능향상 등 직업재활훈련을 받거나 직업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 직업능력을 갖추면 고용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설 한국정신재활시설협회 전국 12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1링크바로가기2링크
아동청소년정신건강지원시설 정신질환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상담, 교육 및 정보제공 등을 지원하는 시설 전국 12개소
(2019년 기준)
성인정신장애인 종합시설 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정신재활시설 중 2개 이상의 정신재활시설이 결합되어 정신질환자등에게 생활지원, 주거지원, 재활훈련 등의 기능을 복합적ㆍ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시설 전국 4개소
(2019년 기준)
중독재활시설 알코올 중독, 약물 중독 또는 게임 중독 등으로 인한 정신질환자등을 치유하거나 재활을 돕는 시설 전국 12개소
(2019년 기준)
정신건강복지
연계시설
읍면동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방문 간호사가 건강관리가 필요한 청년을 방문하여 건강문제 상담 및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전국 읍, 면, 동 복지전담팀 2,619개 (2017년 기준)
3,502개 (2018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정신건강
증진시설
대학 학생상담센터 각 대학교별 학생상담센터가 대부분 존재하며, 건강하고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상담제공. 각 대학교 학생상담센터 - -
근로자 건강센터 일하는 사람은 정규직, 비정규직 고용형태에 관계없이, 생산직, 사무직, 서비스직 등 업종에 관계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고, 특히 사업장 내에 별도의 보건관리자가 없는 50인미만 사업장에 대해서는 구성원들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 서울근로자건강센터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1 바로가기링크
중장년

보건의료

1
생활이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정신건강
의료시설
정신건강 병의원 국민 정신건강증진과 정신질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국가 정책 관련 지원 및 연관된 범부처 협업사업, 사회적 요구로 수행되는 정신보건사업 등을 수행하고, 국가정신건강사업 수행을 위한 정신건강 전문인력을 양성. 국립전신건강센터 정신건강사업부 서울특별시 광진구 용마산로 127 바로가기링크
정신건강
입소시설
정신요양원 정신장애인들의 더 나은 적응을 돕기 위한 개별맞춤 사례관리를 진행하고 개인의 의견과 선택결정의 존중을 통해 적극적인 사회활동으로의 참여를 돕는 사람중심의 서비스를 제공. 한국정신 요양시설협회 전국 59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정신건강
복지센터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사회 내 정신질환자의 등록관리, 사례관리, 주간재활(Day care), 교육·훈련, 타 기관 연계 등 정신질환자 관리, 재활사업 추진 및 지역주민의 정신건강, 자살예방 등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사업 수행
  • 기획 : 지역사회 진단/ 기획 및 자원조정
  • 중증정신 질환관리 : 신규발견체계 구축/ 사례관리서비스/ 위기관리서비스/ 주간재활프로그램/ 직업재활 프로그램/ 주거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 정신건강 증진사업 : 홍보 및 교육사업/ 1577-0199 상담전화/ 고위험군 조기발견과 치료연계사업
  • 정신보건 환경조성 : 보건복지 네트워크 구축/ 자원봉사운영체계 구축/ 지역 언론 협력체계 구축/ 경찰 및 구조구급 네트워크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전국 215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사회 내 정신질환자의 등록관리, 사례관리, 주간재활(Day care), 교육·훈련, 타 기관 연계 등 정신질환자 관리, 재활사업 추진 및 지역주민의 정신건강, 자살예방 등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사업 수행
  • 기획 : 지역사회 진단 및 연구조사/ 서비스 평가체계 구축
  • 중증정신 질환관리 : 편견해소 사업/ 24시간 위기관리지원/ 초발정신질환관리체계구축/ 탈원화 전달체계 구축/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노숙정신질환관리
  • 정신건강 증진사업 : 인식개선 사업/ 24시간 상담 및 지원/ 자살위기개입 체계운영/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고위험군 조기검진지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지원
  • 정신보건 환경조성 : 사회안전망 구축 지원/ 언론 네트워크 구축 및 지원
전국 16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중독관리
통합지원센터
알코올, 마약, 도박, 인터넷 게임 등으로 유발되는 중독예방교육 실시, 중독선별검사 보급을 통한 조기발견 활성화, 지역사회 알코올 중독 고위험군 상담서비스 제공. 전국 50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정신건강상담전화 국 어디에서나 전화를 걸면, 시·군·구별로 정신보건전문요원 등이 자살위기 상담 등 정신건강상담과 지지, 정신건강정보 제공, 정신의료기관 등을 안내. 전국 16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복지

1
생활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정신재활시설 성인생활시설 가정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정신질환자등에게 주거, 생활지도, 교육, 직업재활훈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가정으로의 복귀, 재활, 자립 및 사회적응을 지원하는 시설 한국정신재활시설협회 전국 16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1링크바로가기2링크
성인주간재활시설 정신질환자등에게 작업ㆍ기술지도, 직업훈련, 사회적응훈련, 취업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전국 76개소
(2019년 기준)
성인공동생활가정 완전한 독립생활은 어려우나 어느 정도 자립능력을 갖춘 정신질환자등이 공동으로 생활하며 독립생활을 위한 자립역량을 함양하는 시설 전국 149개소
(2019년 기준)
성인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 지역 내 정신질환자등에게 일시 보호 서비스 또는 단기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퇴원했거나 퇴원계획이 있는 정신질환자등의 안정적인 사회복귀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한 주거제공, 생활훈련, 사회적응훈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전국 7개소
(2019년 기준)
2
이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정신재활시설 성인정신장애인직업재활시설 정신질환자등이 특별히 준비된 작업환경에서 직업적응, 직무기능향상 등 직업재활훈련을 받거나 직업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 직업능력을 갖추면 고용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설 한국정신재활시설협회 전국 12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1링크바로가기2링크
아동청소년정신건강지원시설 정신질환 아동ㆍ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상담, 교육 및 정보제공 등을 지원하는 시설 전국 12개소
(2019년 기준)
성인정신장애인 종합시설 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정신재활시설 중 2개 이상의 정신재활시설이 결합되어 정신질환자등에게 생활지원, 주거지원, 재활훈련 등의 기능을 복합적ㆍ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시설 전국 4개소
(2019년 기준)
중독재활시설 알코올 중독, 약물 중독 또는 게임 중독 등으로 인한 정신질환자등을 치유하거나 재활을 돕는 시설 전국 12개소
(2019년 기준)
정신건강복지 연계시설 읍면동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방문 간호사가 건강관리가 필요한 청년을 방문하여 건강문제 상담 및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전국 읍, 면, 동 복지전담팀 2,619개 (2017년 기준)
3,502개 (2018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정신건강
증진시설
대학 학생상담센터 각 대학교별 학생상담센터가 대부분 존재하며, 건강하고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상담제공. 각 대학교 학생상담센터 - -
근로자 건강센터 일하는 사람은 정규직, 비정규직 고용형태에 관계없이, 생산직, 사무직, 서비스직 등 업종에 관계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하실 수 있고, 특히 사업장 내에 별도의 보건관리자가 없는 50인미만 사업장에 대해서는 구성원들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 서울근로자건강센터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1 바로가기링크
3
생활이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한부모가족
지원시설
모자보호시설 일정 기간 숙식, 심리·정서적 상담 및 심리치료, 양육교육, 직업교육 연계 등 자립준비 지원.

주된 서비스내용 :

  • 방과 후 아동지도, 아동급식비 지급 (자립시설 제외)
  • 심리·정서적 전문상담 및 심리치료 지원
  • 직업교육 연계 등 자립준비 지원
  • 그밖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정하는 경비 지원 (연계 또는 정보제공)

    모자보호시설 입소대상 : 만 18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는 무주택 저소득 모자가족

    모자자립시설 입소대상 : 만 18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는 무주택 저소득 모자가족, 기본생활지원형에서 퇴소한 모자세대로써 자립준비가 미흡한 모자가족

    부자보호시설 입소대상 : 만 18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는 무주택 저소득 부자가족

여성가족부 가족지원과 전국 114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1링크바로가기2링크시설링크링크
모자자립시설
부자보호시설
미혼모자시설
  • 숙식무료 제공, 분만의료 혜택

    의료급여 대상자로 관리

    지역내 병원·보건소 등을 지정하여 산전·분만·산후에 필요한 검진을 받을 수 있음

    임신 및 출산 관련, 분만을 위한 병원 진료, 진료를 위한 병원이용료로서 의료급여항목으로 적용되지 않는 사항에 대해 미혼모 특수치료비 지원

    미숙아를 분만하였을 경우 임산부·영유아·미숙아 등의 건강관리 등에 따른 의료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

    보장시설 수급자로 지정되었을 경우 해산급여, 장제급여 등 지급 가능

  • 자립지원(직업교육, 교양교육, 상담지도)
  • 그밖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정하는 경비 지원(연계 또는 정보제공)

입소대상 : 미혼의 임신여성 및 출산 후(6개월 미만) 입소를 요하는 여성

미혼모자공동생활가정
  •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 숙식무료 제공, 자립프로그램 실시(직업교육, 양육교육, 교양교육, 상담지도 등)
  • 그밖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정하는 경비 지원(연계 또는 정보제공)

입소대상 : 독립적인 가정생활이 어렵고 일정기간 공동으로 가정을 이루어 생활하면서 자립을 준비하고자 하는 모자가족

모자공동생활가정
  • 주거 제공, 자립프로그램 실시(직업교육, 양육교육, 교양교육, 상담지도 등)
  • 그밖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정하는 경비 지원(연계 또는 정보제공)

입소대상 : 독립적인 가정생활이 어렵고 일정기간 공동으로 가정을 이루어 생활하면서 자립을 준비하고자 하는 모자 및 부자가족

부자공동생활가정
미혼모공동생활가정
  •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 숙식무료 제공, 자립프로그램 실시(직업교육, 양육교육, 교양교육, 상담지도 등)
  • 그밖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정하는 경비 지원(연계 또는 정보제공)

입소대상 : 3세 미만의 영유아를 양육하는 미혼모, 출산 후 해당아동을 양육하지 않는 미혼모

일시보호시설
  • 숙식무료 제공, 의료혜택(의료급여 대상자로 관리), 법률상담, 심리상당
  • 퇴소 후의 자립을 위하여 시설 외에서 근로를 희망하는 경우 적극 지원
  • 입소사실에 대한 비밀보장과 특별지원, 자녀의 방과후 지도, 아동급식비 지급
  • 그밖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정하는 경비 지원(연계 또는 정보제공)

입소대상 : 배우자의 학대로 아동의 건전 양육과 모의 건강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모와 아동

성매매 피해지원 시설 일반지원시설
  • 1. 숙식 제공
  • 2. 심리적 안정과 피해 회복을 위한 상담 및 치료
  • 3. 질병치료와 건강관리를 위하여 의료기관에 인도(引渡)하는 등의 의료지원
  • 4. 수사기관의 조사와 법원의 증인신문(證人訊問)에의 동행
  • 5. 「법률구조법」 제8조에 따른 대한법률구조공단 등 관계 기관에 필요한 협조와 지원 요청
  • 6. 자립자활교육의 실시와 취업정보 제공
  • 7.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등 사회보장 관련 법령에 따른 급부(給付)의 수령 지원
  • 8. 기술교육(위탁교육을 포함함)
  • 9. 다른 법률에 따라 지원시설에 위탁된 업무
여성가족부
권익기반과
전국 29개소
(2018. 5. 기준)
바로가기1링크바로가기2링크
청소년지원시설 상위 1. ~ 9. 업무 및 진학을 위한 교육을 제공하거나 교육기관에 취학을 연계하는 업무
외국인여성지원시설 상위 1. ~ 5. 및 9.의 업무 및 귀국을 지원하는 업무
자활지원센터
  • 숙박지원, 취업 및 창업을 위한 정보 제공
  • 그밖에 지역사회와의 연계 및 적응활동의 지원
성매매피해상담소
  • 성매매 피해자에 대한 구조에서 자활에 이르는 과정을 지원하여 사회복귀를 촉진하고 성매매로의 재유입을 방지
  • 성매매 피해자 보호 및 상담, 의료·법률지원, 치료회복프로그램 지원진학교육 및 직업훈련, 일자리제공사업 등을 통한 자활 지원
바로가기링크
여성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여성인력개발센터 경력단절 여성, 즉 기존 노동시장에서 사각지대에 속한 전업주부, 중/고령층 여성, 여성가장, 차상위계층 여성 등을 포함한 성인여성 일반이 처음 가정의 울타리에서 나와 경제활동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곳으로, 기초적인 직업훈련을 받고 심화된 일반 및 전문직업훈련으로 가는 중간적인 브리지 성격의 직업훈련 서비스 제공. 한국여성인력 개발센터연합 전국 53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성폭력피해보호시설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
  • 성폭력 피해자 피해회복 및 재발 방지
  • 성폭력 피해자 치료(응급키트, 의료비, 간병비 지원)
  • 성폭력 피해자 숙식제공 등 보호(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 심리, 정서, 신체적으로 위기상태에 있는 성폭력 피해자 상담, 의료, 법률, 보호 등 서비스 제공을 통해 건강한 사회인으로 복귀하도록 지원.
여성가족부
권익지원과
- 바로가기링크
성폭력피해상담소
  • 성폭력 피해에 대한 상담(여성긴급전화 1366센터, 성폭력 상담소)
  • 성폭력 피해자 방문 상담 및 돌봄서비스 지원.
  • 성폭력 피해자 무료법률지원.
가정폭력피해보호시설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가정폭력 피해자에게 상담, 의료, 법률, 보호, 숙식 등 지원서비스 제공을 통한 건강한 사회인으로 복귀 및 자립지원 여성가족부
권익보호과
전국 207개소
(2018. 6. 기준)
바로가기링크
가정폭력상담소 가정폭력의 피해를 신고 받거나 이에 관한 상담, 가정폭력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가정생활 및 사회생활이 어렵거나 기타 긴급히 보호가 필요한 피해자에 대해 임시보호를 하거나 의료기관 또는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로의 인도.
가정폭력상담원교육훈련시설
  • 일반국민들 대상 ‘찾아가는 폭력예방교육’을 통해 지역사회 인식 개선 도모
  • 아동·청소년 대상 성교육 및 성폭력·가정폭력·성매매·성희롱 예방교육 등을 통합한 성인권 교육 실시
  • 아동·청소년의 건전한 성가치과 조성과 성범죄 예방을 위해 지역 아동·청소년 성교육 전문기관(청소년성문화센터) 운영
전국 67개소
(2018. 1. 기준)
부랑노숙인복지시설 노숙인쉼터 노숙인 등에게 필요한 급식서비스 제공과 건강상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단기간 내 가정 및 사회복귀가 어려운 노숙인 등을 입소시켜 상담 및 치료 또는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한국노숙인 복지시설협회 전국 29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상담보호센터 노숙자에 대한 상담, 취업지원, 생계지원, 기타 행정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 쪽방 밀집지역의 시설.
가족복지지원시설 건강가정지원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는 여성가족부가 시행하는 가족정책의 주요 전달 체계로서 다양한 가족지원 정책을 제안 및 실행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긴급 및 일시적인 시간제 돌봄 서비스를 지원하고 가정생활 전반에 관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 한국건강 가정진흥원 전국 204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근로자지원시설 근로자건강센터 직업병 예방 등 근로자 건강상담/ 직무스트레스 예방관리/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직업(근무)환경 상담/ 생활습관 개선 서울근로자건강센터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1 바로가기링크
자활시설 지역자활센터
  • 근로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의 자활의욕 고취 및 기초능력 배양을 위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
  • 기초생활수급자와 저소득층이 모여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기업을 설립해 자립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지원
  • 창업을 통해 자활할 수 있도록 기술, 경영지원을 하고 창업 후에도 적극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완전자립을 할 수 있도록 지원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서울 30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다문화가족복지시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정착과 가족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종합서비스를 제공.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서울 217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전체 노인

보건의료

1
생활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노인생활
의료시설
노인요양시설 치매·중풍 등 노인성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을 입소시켜 급식·요양과 그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함. 노인을 입소시켜 무료 또는 저렴한 요금으로 급식·요양 기타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 보건복지부요양 보험운영과 노인요양시설 3,261(2017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치매·중풍 등 노인성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급식·요양, 그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보건복지부요양 보험운영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1,981 (2017년 기준)
노인전문병원 일상생활지원/ 건강관리지원/ 사회재활지원/ 재활프로그램 정신요양시설 보건복지부 59개소(2018년 기준)
2
이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노인이용
의료시설
노인요양시설 정신질환자 치료, 낮 병원, 상담 등 서비스 정신의료기관 국공립 18
민간 1,431
(2018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노인 정신건강 치료 재활시설 노인 전문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적인 정신질환자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정신질환의 예방, 정신질환자의 조기발견·상담·치료·재활 및 사회복귀 도모.
-> 노인 정신건강증진사업
  • 성인 및 노인 정신건강(우울, 불안 등) 지역사회 네트워킹을 통한 조기발견체계 구축
  •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증진사업 수행을 통한 고위험군 발견 및 연계체계 구축
* 특히, 노인 우울증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발견 사업체계를 구축하여 서비스 범위를 확대
* 노인 돌보미, 맞춤형방문간호사를 통해 의뢰된 노인에게 정신보건센터에서 선별검사 실시
정신의료기관 국공립 18
민간 1,431
(2018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치매안심센터 치매 상담 / 치매 환자 집중 사례 관리 / 치매 선별검사 / 치매 예방 관리 사업 / 치매 쉼터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 노인 정책과 2018년 6월말 기준, 전국에 설치된 치매안심센터 256개소 중 정상운영 중인 센터는 79개소 바로가기링크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지역사회 내 정신질환자의 등록관리, 사례관리, 주관재활, 교육훈련, 타 기관 연계 등
정신질환자 관리, 재활사업 추진 및 지역주민의 정신건강, 자살예방 등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사업 수행.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시군구정신보건과 227개소
(2018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위기 및 유가족지원, 생애주기별정신건강증진사업, 기획홍보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시군구정신보건과 전국 16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자살예방상담센터 응급전화/ 전화접촉/ 지역연계망/ 자살예방교육/ 현장출동/ 상담 및 심리검사 노인자살예방센터 서울시 서대문구 천연동 117-3 바로가기링크
중독관리 통합지원센터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중독문제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중독자 및 그 가족에 대한 지원과 지역주민에 대한 중독 (알코올, 도박, 인터넷, 마약, 기타중독)예방 서비스를 제공. 특히, 중독자 조기발견 단기개입 서비스, 지역내의 중독재활서비스 연계 및 지원 등을 통해 중독자와 그 가족들에 대한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제공. 한국중독관리센터협회 전국 50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학대피해노인
지원시설
노인보호전문기관-단기보호시설 학대로 고통 받는 어르신들의 권익보호와 삶의 질 향상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어르신들이 직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실천정책을 개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며국내외 노인인권 관련 주체들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노인보호사업을 발전 도모.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63-8 바로가기링크
노인보호전문기관

복지

1
생활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노인주거복지생활시설 양로시설 공동으로 생활하며 독립생활을 위한 자립역량을 함양하도록 지원.
  • 양로시설 : 노인을 입소시켜 급식과 그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시설
  • 노인공동생활가정 : 노인들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여건과 급식, 그밖에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
  • 노인복지주택 : 노인에게 주거시설을 임대하여 주거의 편의 생활지도 상담 및 안전관리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과 시군구정신보건과 전국 44개소
(2018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
부랑노숙인생활시설 부랑노숙인 복지시설
  • 노숙인 등에 대한 일시적인 잠자리 제공, 급식제공, 응급처치 등 일시보호 기능을 주로 수행하면서 종합지원센터에 상담 의뢰, 병원지료 연계, 생활물자 지원 및 보관 등 부가적 서비스를 제공.
  • 건강상 특별한 문제가 없고 일할 의지 및 작업능력이 있는 노숙인등을 입소시켜 생활지도 상담 안전관리 또는 전문적인 직업상담, 훈련 등의 복지서비스를 제공.
  • 신체장애, 정신장애, 그 밖의 질환 등으로 인하여 자립이 어렵고 치료와 보호가 필요한 노숙인등을 입소시켜 치료 및 각종 재활프로그램을 제공.
한국노숙인 복지시설협회 전국 29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2
이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노인여가복지시설 노인복지관 노인의 교양, 취미생활 및 사회참여 활동 등에 대한 각종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과 소득 보장, 재가복지, 그밖에 노인의 복지증진에 필요한 종합적인 노인복지 서비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함.
*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에 따라 노인복지관에서 치매발병 고위험군(경도인지저하자, 75세 이상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원예·미술·음악 등을 활용한 인지활동서비스 제공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 노인 복지관 364
경로당 65,604
노인교실 1,356
(2017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경로당
노인교실
노인휴양소
재가노인복지시설 재가노인복지시설 정신적, 신체적인 이유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곤란한 노인과 노인부양가정에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인이 가족 및 친지와 더불어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노인부양으로 인한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사업. 보건복지부 요양보험 운영과 방문요양서비스 1,001
주야간보호서비스 1,174
방문목욕서비스 609
방문간호서비스 10
단기보호서비스 80
바로가기링크
독거노인복지시설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 공공 및 지역 내 민간기관의 복지서비스 자원을 발굴·연계 지원.
  •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보건·복지·문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 생활교육(월 1회 이상).
  • 주기적 방문, 안부전화 등을 통해 안전 확인 및 말벗서비스 제공을 통한 정서적 지원.
  • 독거노인에 대한 생활 관리사 서비스 내용 : 주 1회 직접방문 및 2∼3회 전화확인, 월 1회 생활교육, 보건복지 서비스 연계
  • 사랑 잇는 전화 :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자원봉사자(나눔천사) 참여를 통한 독거노인의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고자, 나눔천사가 독거노인에게 주 2회 안부전화를 실시하여 정서적 지지와 고독사 예방.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 총 244개소,
시군구별 1∼ 2개소 지정
(2018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부랑노숙인복지시설 노숙인쉼터 노숙인 등에게 필요한 급식서비스 제공과 건강상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단기간 내 가정 및 사회복귀가 어려운 노숙인 등을 입소시켜 상담 및 치료 또는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한국노숙인복지시설협회 전국 29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상담보호센터 노숙자에 대한 상담, 취업지원, 생계지원, 기타 행정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 쪽방 밀집지역의 시설. 한국노숙인복지시설협회 전국 29개소
(2019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정신건강복지 연계시설 읍면동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방문건강관리사업 : 방문 간호사가 건강관리가 필요한 노인을 방문하여 건강문제 상담 및 건강관리서비스 제공.
  • 통합사례관리 : 대상자별 욕구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 가구별 서비스 제공계획 수립 및 연계
전국 읍, 면, 동 복지전담팀 2,619개 (2017년 기준)
3,502개 (2018년 기준)
바로가기링크
3
복합
시설종류 서비스 내용 관할부서 시설현황 관련링크
복합노인복지시설 복합노인복지시설
  • 노인상담사업 : 지역주민 및 어르신의 일상생활 속 다양한 욕구 및 정신적, 신체적 문제 등을 상담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정보와 상담서비스를 제공하여 정서적으로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생활을 지원.
  • 평생교육사업 : 노인들의 복지욕구에 따른 종합적이고 다양한 교육을 지원함으로써 노인세대가 지역사회 주체적 구성원으로 나누고 소통하는 선배시민의 역할을 수행하며 인지기능저하(치매) 예방 및 관리프로그램을 통한 건강한 노후 생활 영위.
  • 지역복지활성화사업 : 지역사회 내 다양한 복지수요에 맞춤형 상담정보 제공 및 지역자원 연계 시스템을 구축하여 고령친화 생태계 조성 등.
보건복지부 전국 364개 노인복지관(2017년 통계기준) 바로가기1링크바로가기2링크